[신문 원고 학부모역량개발센터와 함께하는 멋진 부모되기 ]

성숙한 학부모라면, 자녀의 SNS 사용, 이렇게 지도해 주세요!


  2014년 형사정책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중·고생의 17.5%가 SNS를 통해 ‘사이버불링’을 당한 적이 있으며, 14.9%가 SNS를 통해 ‘사이버불링’을 해 본 경험이 있다고 한다. 사이버불링이란 인터넷상(Cyber)에서 특정인을 집단적으로 괴롭히는 것(bullying)을 말한다. 혹시 우리 아이도 이런 일에 관계된 것은 아닌지 부모님의 시름도 깊어진다. 우리 아이 SNS사용 지도를 어떻게 해야 하나? 막연하게 걱정만 하지 말고 여기 선배 학부모이자 현직 교사의 [초등학교 맘의 Q&A 이건 잘 모르겠네요]에서 궁금증과 필요한 해답을 찾아보자.


초등학교 맘의 Q&A

Q 학부모로서 우리 아이의 SNS 사용 지도를 어떤 방식으로 지도해야 할까요?

A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라인, 페이스북,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이 폭발적으로 늘면서 우리 국민의 SNS 이용이 일상화되었습니다. 특히 우리 아이들은 SNS를 통해 실시간으로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며 성장하고 있습니다. 역사상 가장 강력한 의사소통 수단이 아이들 손에 쥐어진 겁니다. 그런데 어떤 매체도 따라잡을 수 없는 SNS의 능동성, 개방성, 신속성은 양 날의 칼과 같습니다. 이 칼을 조심성 없이 휘두르다보니 아이들은 서로 상처입고 상처주고 살아갑니다. 걱정스러운 부모님들이 아무리 말리려고 해도 한 번 손에 쥔 이 능력을 아이들은 포기하지 않으려 할 것입니다.
SNS의 폐해로부터 아이들을 보호하는 간단한 방법은 스마트폰을 폴더폰으로 바꿔주는 것입니다. 그런데 요즘은 폴더폰에서도 카카오톡은 됩니다. 부모님들과 우리 아이들이 SNS를 현명하게 다룰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 이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는 뜻입니다. 많은 정보 관련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SNS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의 해법은 인위적 규제보다는 자율 규제와 자정기능을 믿고 기다려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 입니다. 그 이유는 SNS의 특성 때문입니다. SNS는 인간을 연결하는 도구로 인간의 사회적 본성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청소년기는 부모로부터 심리적으로 독립하려는 시도를 하는 시기입니다. 이때 부모님들이 착각하시면 안 되는 것이 아이들은 부모의 간섭에서 벗어나고 싶은 것이지 홀로 서고 싶어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아이들이 홀로 설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라는 마음가짐으로 아이들의 SNS 사용 지도에 임해주시면 좋겠습니다.

Q 우리 아이의 SNS 사용에 대해 무엇을 자주 체크해야 할까요?

A 제일 먼저 아이가 어떤 SNS를 사용하는 지 체크하세요. 2013년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조사에 의하면 우리 10대들은 카카오스토리(33%), 페이스북(23.9%), 싸이월드(23%) 순으로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SNS에는 각각의 특징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SNS는 기존 오프라인 인맥 기반의 1세대(싸이 월드, 카페), 불특정 다수와의 관계로 확대된 2세대(카카오, 페이스북, 트위터),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관심사를 공유하는 3세대(인스타그램, 핀터레스트)로 구분합니다. 아이가 1세대 SNS 사용자라면 친구 관계를 중요시한다고 볼 수 있고, 2세대이면 자기를 표현하는 데에 관심이 많다거나, 3세대면 보다 전문적인 관심사를 가지고 있다는 등의 기초 정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아이가 관심을 가지는 ‘컨텐츠’와 현재 “이슈”가 무엇인지 체크하세요. 관심을 보이는 컨텐츠를 통해 아이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이슈”를 통해 관심사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SNS에 빠지는 가장 큰 이유는 우리 삶이 고달프고 지루하기 때문이랍니다. 하루 중 너무 바빠 자기 시간이 없다고 느낀 사람일수록 SNS 사용 시간이 길다는 연구보고서가 있습니다. SNS의 주요 컨텐츠가 음식과 여행이라는 것은 SNS 사용자들에게 결핍된 것이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하는 충족감과 생활의 여유, 새로운 느낌 그리고 흥미진진한 도전 등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아이의 손목과 어깨, 목 주위 근육을 자주 만져 보세요. 이 부분들이 딱딱하면 아이가 SNS, 게임, 웹툰을 너무 많이 즐긴다는 뜻입니다. 주물러 주시면서 요즘 SNS에 올라온 흥미로운 이야기는 무엇인지 물어보시고, 아이에게 설명해주도록 요청하십시오.

Q SNS 사용에 대해 아이에게 무엇을 일러두어야 할까요?

A   아이들에게 글자 너머에 인간이 있다는 것을 자주 환기시켜야 합니다. SNS가 일으키는 기본적인 문제는 서로 얼굴을 대면하지 않은 상태에서 오고가는 대화에서 발생합니다. 인류에게는 오래 전부터 SNS보다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도구가 있었습니다. 얼굴입니다. 얼굴에는 80여 개의 안면근육이 만드는 약 7,000 여 개의 표정이 있습니다. 대화할 때 우리는 서로의 얼굴 표정을 살핍니다. 그런데 SNS는 문자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이모티콘으로 얼굴을 대체합니다. 아무래도 대화 상대를 덜 의식하게 되어 나를 꾸미기도 쉽고 상대를 속이기도 쉽습니다.
글을 올리기 전 잠시 생각해보기를 권합니다. SNS의 가장 큰 장점이자 단점은 신속성과 동시성입니다. 돌이킬 시간이 없습니다. 구글에서 실시한 실험에서 글 게시 버튼을 누르기 전에 ”당신의 글로 상처를 받는 사람이 있을지 모릅니다. 게시 전에 다시 생각해보면 어떨까요?“라는 경고 메시지를 본 청소년 실험 참여자 중 93.43%가 타인을 비방하는 게시물을 올리는 것을 제고하였다고 합니다.
자신을 표현하는 즐거움에는 대가가 따른다는 것을 일러주어야 합니다. 즐거움을 위해 올린 게시물이 기업 직원 채용 시 발목을 잡을 수도 있고, 스스로 공개한 신상정보를 이용한 범죄행위의 대상이 될 수 있다거나, SNS를 많이 볼수록 우울증의 위험이 더 높아진다 등의 위험성을 구체적으로 알려주어야 합니다.
아이들은 약합니다. 약한 것들은 무리를 지어 스스로를 보호합니다. SNS를 통해 아이들은 언제나 함께 있고 싶어합니다. 함께 있지 않으면 무서운 것들이 공격해올 수 있습니다. SNS를 들여다보고 있는 아이들의 공포를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끝.

 

북아메리카 원산 루드베키아

여름에 피는 국화

색이 강렬하다.

노랑과 주황 사이

나는 알 수 없는 그 색의 이름이 "크롬 옐로우" 라고 아내가 가르쳐 주었다.

 

내가 알 수 없는 것들에도 이름이 있고, 그 이름들을 불러주는 사람들이 있다.

 

반 고호가 해바라기를 그릴 때 이 색을 썼다고 한다. 그런데 지금은 탈색해 황토색이 되었다고 한다. 근데 그 색인지 어케 알아? 동생 테오에게 보낸 편지에 그렇게 썼단다. 그래 이 색이면 고호의 해바라기 꿈틀거리는 붓 터치와 잘 어울리겠다.

 

고호, 내게 보이는 것보다 더 미쳤었구나.

 

팔공산 파계사 아래 카페

가족석 소파엣 뒹구는

후와 푸와 윤이

 

어느 날 인형들이 나에게 말했다.

 

"눈 깔어! 새이야!"

'살아가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 수 없는 이름을 불러주는 사람들  (0) 2012.08.05
후, 윤이, 푸우  (0) 2012.08.05
이색이  (0) 2012.08.05
2012 년 7월29일 저녁  (0) 2012.08.05
아이와 풍경  (0) 2012.08.05

 

특수 효과를 이용하지 않났는데도 전혀 현실 같지 않는 그림이 나올 때가 있다.

늦은 저녁, 햇살이 거의 사라져 폰카로는 전혀 잡아낼 수 없는 빛들이 넘쳐나는 시간이 있다.

팔공산 컵숍 건물 외 벽,

하늘은 이미 어두워졋고 가로등도 이미 켜진 사진 찍기 지랄 같은 시간.

가로등 빛을 숨기고 어슴프레한 빛에 나무잎이 드러나는 자리가 있었다.

유리창에 폰을 바짝 붙이고 찍었다.

낮에는 보이지 않던 색들이 튀어나왔다.

이 색이들이...

'살아가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 윤이, 푸우  (0) 2012.08.05
아 진짜 그 새이들이 눈 똥그랗게 뜨고 글케 말했다니까!  (0) 2012.08.05
2012 년 7월29일 저녁  (0) 2012.08.05
아이와 풍경  (0) 2012.08.05
민들레 홀씨들의 소리  (0) 2012.08.05

 

무더운 여름 저녁

구름에 비친 석양 빛

'살아가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 진짜 그 새이들이 눈 똥그랗게 뜨고 글케 말했다니까!  (0) 2012.08.05
이색이  (0) 2012.08.05
아이와 풍경  (0) 2012.08.05
민들레 홀씨들의 소리  (0) 2012.08.05
교실의 다층적 구조  (0) 2012.08.05

+ Recent posts